PPL 브랜디드 콘텐츠 차이점 (뒷광고 앞광고)
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PPL 브랜디드 콘텐츠 차이점 (뒷광고 앞광고)

by 밀레니얼TV 2022. 4. 13.

안녕하세요. 오늘은 PPL 광고브랜디드 콘텐츠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여러분이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다면 최소 블로거나 유튜버 정도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마 어느 업체로부터 광고 제의가 들어왔기 때문에 PPL과 브랜디드 콘텐츠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셨겠지요?

오늘 두 광고의 차이점 개념을 확실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메일은 제가 직접 받은 광고 협찬 제의 메일입니다. 편의상 업체명과 상품명은 가렸습니다.

ppl 브랜디드 광고 제안 메일 예시

가장 최근 받은 광고 제안 메일인데요. 브랜디드와 PPL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이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네요.

보통은 브랜디드 콘텐츠로 해주세요, 또는 PPL로 해주세요 요청을 하는 편인데 가끔 콘텐츠의 선택을 넘겨 주는 경우도 있어요.

참고로 필자는 유튜브(구독자 3.8 만 명)도 함께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 제안 문의가 상당히 많이 오는 편입니다.

평균적으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가격은 15~40만원 정도이며, 도서 리뷰 광고는 구독자에 따라 다르지만 제 채널 3~4만 명 기준으로 건당 30만원의 현금과 상품을 무상으로 지급받는 조건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경제나 주식 투자처럼 돈과 직접적인 관련이 큰 콘텐츠를 주로 다루는 채널이라면 구독자가 3만 명 정도라도 협업 유료 광고의 단가가 최소 100~150만 원 정도로 비싼 편입니다.

필자는 그동안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PPL은 물론 브랜디드 콘텐츠까지 제작해서 업로드한 경험이 있는데요.

아래는 가장 최근 유튜브에서 유료 광고로 진행했던 기저귀 광고 콘텐츠였습니다.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 예시 '밀레니얼TV'

대부분 그렇지만 이 경우에 금품도 지급받고, 기저귀 상품도 지급받고 진행했던 브랜디드 콘텐츠였습니다.

이렇듯 유료광고를 명시하고 대놓고 소개하는 방식앞광고는 대부분 브랜디드 콘텐츠 형식입니다.

브랜디드 콘텐츠(Branded Contents)는 콘텐츠에 브랜드를 통으로 넣은 방식으로 유튜브를 예로 들자면 영상의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상품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블로그도 마찬가지로 다른 이야기 전개 없이 해당 상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마무리까지 해당 브랜드 메시지로 마무리 되는 방식이죠.

반응형

예전에는 이 브랜디드 콘텐츠를 유료 광고라는 명시 없이 몰래 내돈내산인 것처럼 다루는 유튜버가 많았는데 언젠가 한 번 논란이 커져서 지금은 그런대로 유료 광고를 표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아직까지 뒷광고는 근절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상품이나 금전을 대가로 지급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에는 마치 본인이 직접 구입한 것처럼 소개하는 사례가 많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많이 좋아지긴 했죠. 이렇듯 브랜디드 콘텐츠는 콘텐츠 자체가 브랜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작부터 끝까지 특정 상품을 소개하는 방식이라 누가 보아도 광고라는 이미지가 매우 강하다는 게 특징입니다.

아래는 필자가 유튜브 초보 시절에 금전 지급 없이 상품만 무상으로 받아서 제작했던 브랜디드 콘텐츠입니다.

브랜디드 콘텐츠 예시

이렇듯 하나의 상품을 긴 시간 아주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방식이므로 대부분의 기업은 브랜디드 콘텐츠 제작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렇다면 PPL 방식의 광고 무엇이며, 어떤 분야에서 인기가 좋을까요?

사실 PPL은 뒷광고가 가장 많고, 또 유료 광고라고 명시하지 않으면 광고라는 것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입니다.

PPL(Product Placemant) 협찬은 대부분 영화나 드라마, 예능 프로에서 가장 많이 부각을 들어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영화 속 주인공이 특정 상품을 사용하는 장면이나 음식을 먹는 장면이 나왔다면 관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가 사용하는 상품이나 음식을 먹고 싶어지게 됩니다.

이렇듯 영화 속에 등장하는 배우가 마시는 술이나 음료, 먹는 음식, 심지어는 입는 옷이나 신발 악세사리까지 모두 PPL 협찬일 경우가 매우 높다는 말이죠.

다만 이 경우 영화나 드라마의 흐름을 깨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럽게 등장해야 하는데 갑자기 너무 노골적으로 해당 상품을 자주 등장시켜 극 중의 흐름을 깨뜨려 몰입도가 떨어지게 만드는 단점도 있습니다.

최근 가히 화장품이 노골적인 PPL로 인해서 이미지가 나빠지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또 얼마 전 해외 사례로 유명 축구 선수가 인터뷰 도중 테이블에 올려놓은 코카콜라를 치워버리면서 "물을 마시자"고 언급하여 화제가 되었죠.

코카콜라로부터 어마어마한 광고료와 물품을 협찬받았는데 일개 선수의 돌발 행동으로 인하여 해당 기업에 이미지 손상을 주었습니다.

코카콜라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코카콜라 PPL을 가장 열심히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월가의 살아있는 전설! 주식투자의 거물 '워린버핏'입니다.

워린버핏은 코카콜라 주식을 너무 사랑하여 많은 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코카콜라가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수록 자신이 보유한 주가도 덩달아 오르기 때문에 매우 적극적으로 오랜 기간 코카콜라를 PPL 해왔습니다.

연설을 할 때에도, 인터뷰를 할 때에도, 단순 외출을 할 때에도 그의 손에는 항상 코카콜라가 들려 있을 정도였으니까요.

그런데 이 PPL이 최근에는 안 좋은 단점이 많이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필자는 개인적으로 대놓고 광고하는 브랜디드 콘텐츠보다 은근슬쩍 등장하는 PPL 광고의 효과가 더욱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이 적당하게 노출해야 하는데 극히 일부가 너무 노골적으로 과하게 등장하여 불쾌감을 유발하여 최근 PPL 기피 현상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특정 상표가 사실은 거의 모두 PPL 협찬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영화나 드라마, 예능 제작에 필요한 제작비는 거의 PPL 협찬 광고료로 제작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한데요.

마지막으로 오늘의 논점이었던 브랜디드 콘텐츠와 PPL의 차이점을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예로 10분짜리 콘텐츠가 있는데 8분 이상 해당 상품이 등장한다면 브랜디드 콘텐츠, 반면 1분 내외나 몇 초 단위로 아주 짧게 등장한다면 PPL 협찬입니다.

따라서 광고라는 것을 명시하지 않아도 브랜디드 콘텐츠는 쉽게 광고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PPL의 경우 광고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댓글